목차
1. Product Manager란?
2. Product Manager에게 요구되는 역량
3. 서비스 구축 프로세스
1. Product Manager란?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는 프로덕트(Product, 제품)와 매니저(Manager, 관리자)가 합쳐진 단어로, 그대로 해석하면 제품을 관리하는 사람이다.
제품(=서비스)을 기획하고, 이 기획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디자이너부터 개발자, 유관부서, 퍼블리셔(회사마다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다)와 협업한다.
'인스파이어드'에서 마티케이건은 프로덕트 매니저를 미니 CEO라고 정의하는데, 이는 사용자와 IT, 비즈니스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서비스를 만들어 나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Product Manager와 Project Manager의 차이는 무엇일까?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Product와 Project의 개념을 먼저 정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Product | Project |
카카오톡 | 선물하기 서비스 |
대국민 어플 카카오톡을 예시로 든다면, 카카오톡 전체는 Product이며 그 안에 세부적인 기능 선물하기는 Project이다. 선물하기 외에도 채팅방 기능, 실험실 등등 다양한 서비스가 있는데 이러한 Project가 모여 Product가 된다.
업무 순서 | ||
데이터 분석, UX 리서치, 시장조사를 통해 문제 발견 및 정의 | 고객사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프로젝트 A to Z 전략 수립 |
|
사용자 스토리, 고객가이드 문서, 운영정책 등 수립 | 프로젝트 프로세스 최적화/효율화 전략 수립 및 실행 | |
프로토타이핑, 디자인씽킹 등으로 문제 해결 | 프로젝트 일정관리 | |
서비스의 중심 역할로서 적극적인 소통과 의사결정 진행 | 프로젝트 예산/비용/리스크 관리 | |
서비스 관련 목표와 결과 수립, 실행 담당 | 프로젝트 투입 리소스 소싱 및 관리 | |
코칭, 리더십 역할 담당 | 프로젝트 이슈 관리-이슈 대응 |
즉, Product Manager는 프로덕트의 '무엇'과 '왜'에 초점이 있는 역할이며, Project Manager는 프로덕트의 '언제'에 관심이 있는 역할이다.
2. Product Manager에게 요구되는 역량
PM이 되려면 흔히들 무엇이든 할 수 있는 만능, 제너럴 리스트가 되어야 한다고 한다.
아래의 표를 보면 그 이유를 납득할 수 있다. 프로덕트, 고객, 관리, 전략에 대한 감이 어느 정도 있어야 한다.
1. 프로덕트: 제품 실행력
프로덕트 자체에 대한 인사이트와 함께 구상과 개발, 운영 등 프로덕트 전반에 대한 능력
- 품질 관리
- 개발 관리
- 기능 정의
2. 제품 전략
혁신적인 프로덕트를 런칭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조망하는 역량
- 전략 수립
- 비전&로드맵 설정
- 성과
3. 고객 인사이트
고객경험과 고객니즈를 파악하고 서비스에 반영
- 소비자 분석
- 고객 경험
- 데이터 분석
4. 관리 능력
조직 구성 능력과 리더십,협업 관계자 커뮤니케이션 스킬 필요
- 조직 구성 관리
- 팀 내 리더십
- 협업 관계자 관리
이러한 네 가지 역량을 가지고 라비 메타는 프로덕트 매니저의 유형을 분류했다.
제품 빌더와 관리자는 보통 주니어가, 제품 설계와 리더는 시니어가 두드러진 역량을 가지고 있다.
예시로 아래의 그림에서 CPO는 제품 빌더, 관리자 역량보다는 제품 설계, 전략에 더 많은 역량이 요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신이 해당하는 레벨은 어떤 역량을 요구하는지 점검하면서, 그에 맞는 PM이 되는 것도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다.
3. 서비스 구축 프로세스
제품을 만드는 절차는 간단히 무엇을 만들지 결정하고, 어떻게 만들지 결정하여 만든 다음, 잘 만들어졌는지를 점검하는 것이다.
순서 | 단계 | 컨셉 | 목표 |
1 | 전략 | 무엇을 만들까? | -요구사항 정의, 사업기획 모색(원기획) -서비스 방향과 목표 설정 -로드맵 설정 |
2 | 기획 | 어떻게 만들까? | -서비스 화면설계서 진행 -운영, 마케팅 방향 수립 |
3 | 구현 | 서비스 구축 | -디자인, 퍼블, 개발 일정 조율 -유관부서와 출시 준비에 대한 협업 진행 |
4 | 피드백 | 잘 만들었을까? | -사용자 반응 관찰(만족도 조사) -개선점/고도화 방향 설정 |
제품에 대한 의사결정 순서와 단계마다 필요한 문서도 다르다.
기획/구현의 단계에서는 제품 비전, 전략, 로드맵 & 상위 정책과 요구사항 정의서 & 상세 정책과 화면 설계서가 필요하다.
QA 단계에서는 상세한 테스트 케이스와 QA 완료 보고서가 필요하다.
운영 단계에서는 사용자 가이드, 운영정책 문서, 관리자 문서, CS대응 가이드, 장애 대응 시나리오 등의 문서를 준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배포 단계에서는 오픈 시나리오와 완료 보고 문서가 필요하다.
작은 기능 하나만 추가되었더라도, 모두 같은 사이클을 타야 한다. 그래야 혼선이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PM는 이렇게 보니, 한 단어로 압축할 수 있을 것 같다.
기업이라는 가정을 '알뜰하게 잘 꾸려 나가'기 위해, 최소 비용과 최소 인원을 활용하여 전략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한다. 또한 서비스의 처음부터 끝까지 체크리스트에서 빠진 건 없는지 세심하게 챙긴다. 물론 구성원 간 의견이 충돌하지 않도록 의견을 조율하는 역할도 빼놓지 않는다. PM는 결국 '살림꾼'이다.